TEXT

2016 김정현_최면에 걸린 과학Hypnotized Science

최면에 걸린 과학

김정현 (미술비평가)

 

<돌과 요정>(2016)은 영화관, 전시장, 서점에서 상영되었다. 각기 다른 장소에 놓인 이 영상은 ‘거의’ 동일하다. 이렇게 단서를 달아야 하는 이유는 영화관에서 상영한 뒤에 영상이 미미하게나마 추가로 편집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상영 환경까지 영상 작업의 연장선상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영상 한 편의 자리를 다양하게 마련한 임영주 작가는 그렇게 접근하는 듯하다. 건축적 요소나 공간의 기능에 한정하지 않고 영상을 보여주는 포괄적인 조건에 관심을 보인다. 상영 환경이 작업의 중요한 요소라면 <돌과 요정>이 독립적인 영상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까?

처음부터 영상을 만들 계획은 아니었다고 한다. 운석 탐사 동호회와 사금 채취 동호회의 탐사에 동행하면서 작가가 직접 기록한 영상, 누군가에게 부탁해서 찍은 영상, 인터뷰 음성을 모아 약 45분짜리 영상으로 편집했지만, 시간 편집보다 더 눈에 띄는, 불편할 정도로 과장된 시각적 효과들만 봐도 다큐멘터리를 의도한 게 아니란 사실을 알 수 있다. 기획 서문에 제시된 ‘판타지 다큐멘터리’라는 조심스러운 표현을 ‘판타지물’이라고 바꿔 부르면 좀 더 명확해질 것이다. 해심명님, 서이님, 모노님, 죠오님 같이 아이디를 사용하는 사금 채취 동호회 멤버가 무협지 등장인물 같이 느껴졌다는 작가는 거리를 둔 관찰자가 아니라 그들의 판타지 속 모험에 동참하는 일행이 된다. 단, 3분을 기다린 후에.

영상은 “자, 3분 전입니다”라는 오프닝 문구로 시작한다. 영화관의 관람 규정에 따라 정시에 자리를 잡고 앉은 관객이 실제와 픽션이 혼재된 파편적인 이미지와 음성에 몰입해 들어갈 때 일종의 최면 효과가 발생한다. 환영성이라는 재현 이미지의 필연적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굳이 발버둥 칠 필요가 있겠냐는 듯, 강한 에코의 몽롱한 나레이션은 환영성을 극대화하며 최면을 (또는 최면이라는 농담을) 건다.

임영주의 개인전 《오늘은편서풍이불고개이겠다》(2016)에서 <돌과 요정>은 전시장 가장 깊숙한 곳에 놓인다. 1층 쇼윈도우 갤러리를 거쳐 2층 전시장으로 올라가 달과 인간이 등장하는 작업을 본 후 가벽을 친 아담한 방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석력>(2016)이라는 작품 제목이 지시하듯이 전시의 주인공인 ‘돌’은 ‘힘’을 지녔다. 그러나 도대체 어떤 종류의 힘인가? 연금술사들을 유혹하던 마력인가, 동호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미스터리인가, 온갖 개인적 환상을 투사할 수 있는 백지로서의 가능성인가.

종교와 미신을 파고드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임영주는 이번 전시에서 과학을 대비시킨다. 매일 아침 오늘의 날씨와 오늘의 운세 앱을 ‘공평하게’ 확인한다는 작가는 과학적 사고방식과 미신적 신앙 사이의 차이보다 유사성에 주목한다. 당장 관찰과 실험을 바탕으로 한 예측과 믿음에 근거한 예언을 대비하는 게 타당한지 따지고 싶어지지만, 관찰과 실험이 전문화되고, 즉 일상이 아마추어리즘, 아니, 반지성주의에 잠식당하며 과학이 합리의 영역에서 믿음의 영역으로 이전된 현재의 삶을 떠올리면 머뭇거리게 된다.

과학 실험에서 착안한 것처럼 보이는 작업들, 작가가 ‘영상’ 작업이 아니라 ‘기록영상’이라고 일컬은 1층 전시작들 <테스트_힘>(2016), <테스트_물질>(2016), <풍력>(2016)은 짤막한 루프 영상으로, 돌을 문지르거나 풍선을 들고 있는 모습 등을 담고 있다. 특히 알코올램프로 달궈지는 돌 위에 손을 올리고 있는 59초짜리 영상과 점토로 감싼 풍선을 붙들고 있는 8분 58초, 4분 59초짜리 영상은 거의 사진처럼 보인다. 각각 뜨거움과 무게를 버티는 ‘실험’ 중인 영상의 길이는 측정 결과를 지시한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올 법한 단순한 실험을 재현한 것, 혹은 엄밀히 말해 실험이라 할 수 없는 유사 과학으로서의 퍼포먼스를 어떻게 봐야 할까? 이는 과학적 사고로 대체할 수 없는 미신을 옹호하는 제스처인가, 과학의 복잡성과 불가해함에 대한 코멘트인가. 임영주에게 있어서 ‘판타지물’은 초자연적 주제를 다루는 장르 문학에 한정되지 않고, 전모를 알 수 없는 것들에 관한 이야기를 포괄적으로 일컫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과학 실험의 외피를 띤 일련의 작업들은 과학을 ‘재현’한 판타지물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임영주가 제시하는 판타지물은 과학 도감 형식의 책으로 확장된다. 서점에서 <돌과 요정>을 상영하고 관련 글과 사진을 모은 책 『돌과 요정 1권 괴석력 怪石力 ODD ROCK FORCE』(2016)을 펴내며, 영상에 생략된 내용을 자세히 보충한다. (그리고 이 글은 『돌과 요정 2권 오늘은편서풍이불고개이겠다』에 실려 영상의 바깥을 보충한다.) 판타지물의 해제처럼 사용되는 이 책은 <돌과 요정>의 복잡성을 해부해서 보여줄 뿐 아니라, 이 프로젝트의 복잡성을 해소시켜주는 창구가 된다. 책은 책답게 서점에, 영화는 영화답게 영화관에, 전시용 작업은 알맞게 전시장에 놓자는 것. 그 모든 것을 융합할 수 있다는 판타지에 대응하며 가능한 매체별로, 장소별로, 관객별로 분리해서 놓아보려 시도하는 임영주는 다시 3분을 기다렸다가 판타지물의 바깥에 선다.

 

 

 

김정현_미술평론가·독립 큐레이터

동시대미술의 수행적 측면에 관심을 갖고 퍼포먼스와 안무에 관해 글을 쓰고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지난 해SeMA-하나 평론상을 수상했고 AYAF 시각예술 큐레이터로 선정되었다. 《산책일지》(2014, 공동), 《연말연시》(2015), 《아무 것도 바꾸지 마라》(2016)를 기획했다.

 

 


Hypnotized Science

KIM Junghyun, art critic

Rock and Fairy (2016) was shown at a movie theater, an exhibition space and a bookstore. Although shown at different venues, the versions were different, but ‘almost’ identical. This explains the reason for there being different versions; the video was slightly edited after the movie theater screening. On top of that, the screening condition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making process of the video making. It seems like at least the this artist took a certainsuch an approach by arranging various screenings for a single piece of work. Setting any boundaries aside in terms of “architectural” elements and the function of each space, the artist takes into account the inclusive condition of every screening. If the setting of every screening is considered an important aspect of her work, could Rock and Fairy be considered an independent and autonomous video work? 

According to the artist, she didn’t intend to make a video at first. The 45-minute video just turned out to be the result of footage of the journey she went on with the meteorite exploration community and gold seekers - filmed by the artist herself - combined with interviews and footage shot by someone else. Furthermore, it becomes evident that the artist did not intend to make a documentary. The highly exaggerated visual effects are used in such way that they cover up the editing of time duration. Although the preface carefully describes it as a ‘fantasy documentary’, calling it as ‘fantasy genre’ sounds much more adequate. While hanging out with gold seekers Hae Shim Myung, Seo-ee, Mono and JOH whose names sound as if they came straight out of a martial arts story, the artist doesn’t take on the role of a distant observer, but an active participant of their fantasy-led adventures. This happens after only three minutes of waiting. 

The film begins with the opening line, “OK, three minutes left.” Some sort of hypnotic effect occurs as the audience is properly seated before screening begins, and is about to immerse itself in the fragmented images and sounds that intertwine reality and fiction. As if there’s no need to escape from the inevitable boundary of representation as an illusion, the dreamy sounds of a strongly echoed voice maximize the experience of illusion attempting to hypnotize, or jokingly to hypnotize, the audience. 

In IM Youngzoo ’s solo exhibition THEWESTERLIESWINDCOMESANDGOES (2016), Rock and Fairy is located in the most remote part of the exhibition. After passing by a window gallery on the first floor and a work that represents the moon and human beings walking up to the exhibition space on the second floor, the viewer finds themselves in a small, cozy room with free-standing walls where the work can be fully appreciated. As the name of the work Rock Force indicates, the rock possesses a certain force, and thus features as the protagonist of this exhibition. But what on earth is this force? Is it a magical power that captivates alchemists? Is it a mystery that stimulates the curiosity of the meteorite and gold explorers and members of other like-minded communities? Or is it the possibility of being a blank paper onto which all sorts of personal illusions can be projected?

Known for her works that deal with religion and superstition, IM Youngzoo likes to use science as a contrast medium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spends her time equally between checking the weather app and reading her horoscope every morning. By doing so, she aims to focus on the similarities, and not the differences, between scientific thought and superstitious religion. Naturally, I would now like to ask the artist if it is reasonable to differentiate forecasts based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 from those based on beliefs. However, I find myself hesitating when I recall the life at present where observation and experiment have somehow become a specialization, our daily lives are being encroached by amateurism, and anti-intellectualism and science are being transmigrated from the domain of rationality into that of belief. 

Located on the first floor, Test_Force (2016), Test_Material (2016) and Wind Force (2016) are works that are seemingly based on the science experiment. These are not just video works, but actual documentary videos on loop that include scenes of someone rubbing a rock or holding a balloon. The 59-second video shows a hand touching the rock while it’s being heated by an alcohol lamp. The 8-minute, 58-second video and the 4-minute, 49-second video both show someone holding a balloon covered in clay. All three videos look like photographs. The duration represents the measured results of testing tolerance to heat and weight in each of these videos. 

How should we view these representations of simple experiments that are provid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other words, how should we perceive these pseudo science performances, strictly speaking, unreal science experiments? Is it a way of advocating superstition that can’t be replaced with scientific thought? Or is it a comment on the complexity and incomprehensibility of science? Does the artist consider the fantasy genre as genre fiction dealing with supernatural subjects yet comprehensively referring to stories where there is no telling what awaits? If so, could this series of works in the guise of pseudo scientific experiments be called the fantasy representation of science? 

The fantasy genre presented by the artist is being expanded into an illustrated guide book to the art of science. During the bookstore showcase of Rock and Fairy, she also published an accompanying book, entitled Rock and Fairy Vol. 1 ODD ROCK FORCE. Text and photographs comprising the book back up unseen/deleted content of the video work. (A text written by myself will be part of the book Rock and Fairy Vol. 2 THEWESTERLIESWINDCOMESANDGOES). 

This book functions as an interpretation manual for the fantasy genre and not only demonstrates the analysis of the complexity of Rock and Fairy but also serves as a gateway to solve the complexity of the whole project. By doing everything the way it should be done - placing her book in a bookstore, screening her film in a movie theater and displaying artworks in an exhibition space - the artist strives to divide the whole project by medium, venue and target audience and respond to the idea of fantasy as a fuser of things. She waits another three minutes and then stands outside the fantasy genre. 


KIM Junghyun is an art critic and an independent curator. Kim is interested in the performative aspect of contemporary art, writes essays about performance and choreography, curates exhibitions and engages in some work as a dramaturgie or a performer as well. She was awarded 2015 SeMA–.HANA Art Criticism Award and selected as a visual art curator for AYAF by the Arts Council Korea. She Curated Walking Log (co-curated; 2014), YEON MAL YEON SI (2015) and Change Nothing(2016).